안녕하세요 정보라입니다.
오늘은 임의계속가입에 대해 알아보고 이름도 비슷한 임의가입과 비교해 보겠습니다.
✅ 인기글
✔️ 청년도약계좌 6월 15일 출시(5년간 5000만원 목돈마련)
✔ 알아두면 좋은 정부서비스(부정·불량식품 신고 서비스)
임의계속가입이란?
임의 계속가입은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하고 있는 가입자,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이 만 60세에 도달했을 때, 가입기간이 부족해 연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거나 가입기간을 연장해 더 많은 연금을 받고자 할 때, 신청을 통해 65세까지 가입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
1. 만 60세가 되었지만, 국민연금 최소 가입기간(1년 이상)이 부족해 노령연금을 받지 못할 때
그동안 냈던 보험료는 이자가 더해진 반환일시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지만, 최소가입기간 10년을 채우면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, 연금으로 받고자 하는 분들이 임의계속가입을 신청합니다.
2.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가입기간은 충분하지만 더 많은 연금을 받고자 할 때
노후에 받는 연금액은 가입자의 가입기간이 길수록, 그동안 낸 보험료가 많을수록 더 많아집니다.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는 최소가입기간은 만족했지만 노후에 더 많은 연금을 받고자 하는 분들이 임의계속가입으로 가입기간을 늘립니다.
※ 다음에 해당하는 분들은 임의계속가입 신청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- 60세가 되거나 임의계속 탈퇴(상실)하고 반환일시금을 이미 받은 자
- 60세가 되었으나 납부한 보험료가 전혀 없는 자
(전액미납자는 1개월 이상의 보험료 납부한 후 신청 가능)
- 전체 납부예외인 자
- 노령연금 수급 중인 자
임의가입이란?
임의가입은 국민연금 가입 대상은 아니지만, 본인이 희망해 가입하는 제도입니다.
임의계속가입 VS 임의가입 비교하기
임의 가입은 소득이 없는 만 27세 미만 학생이나 군인, 무소득 배우자(부부 중 소득이 없는 사람) 등 의무 가입 대상에서 제외된 분들만 만 18세 이상이면 가입이 가능하며, 이를 통해 노후 대비를 일찍 시작할 수 있습니다.
임의가입자 | 임의계속가입자 | |
2011년 | 171,134명 | 62,846명 |
2021년 | 396,632명 | 543,120명 |
임의가입자와 임의계속가입자는 2011년 대비 2021년 12월말 기준 각각 2.4배(약 17만 명→40만 명) 9배(약 6만 명→54만 명) 수치를 보이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.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바로가기
국민연금공단
www.nps.or.kr
자료 = 국민연금공단
그럼 여기까지 임의계속가입과 임의가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감사합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용 및 단시간 근로자 국민연금 (0) | 2023.06.18 |
---|---|
국민연금 반환일시금이란? (0) | 2023.06.17 |
노인요양시설 등 시설급여 기관 CCTV 설치 의무 (0) | 2023.06.16 |
국민취업지원제도에는 무엇이있고 어떻게 받지? (0) | 2023.06.15 |
군복무크레딧 대상 및 신청 (0) | 2023.06.1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