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실업급여 수급 중 소득이 있는 경우

by kneekick-kneekick 2022. 1. 20.
반응형

안녕하세요. 소곤소곤입니다.

사진 = 클립아트코리아

오늘은 실업급여 수급 중 소득이 있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✅ 인기글

✔ 벤츠 T클래스 공개, 귀여운 5인승 소형 미니밴

✔ 벤츠 E클래스 나이트 에디션 블랙으로 고급감 업!

✔ 기아 신형 니로 EV 가격부터 공개, 4852~5133만원

✔ 외형이 너무 멋진 '비즈만 썬더볼' 공개

✔ 4대보험 납부확인서 인터넷 발급

✔ 남성에게 위험한 통풍의 원인과 증상

✔ 실업급여 수급 중 소득이 있는 경우

실업급여 수급 중 소득이 있는 경우

구직활동을 하며 실업급여를 받고 있던 A 씨는 지인의 부탁으로 2주간 아르바이트를 하게 되었습니다. 임금도 소액인데다 단기로 하는 알바여서 정식으로 취직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. 이 경우에도 취업으로 신고를 해야 할까요?

-> 실업급여 수급 기간 중 취업한 사실이 있거나, 근로에 의한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실업인정일에 취업 사실을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.

 

■ 실업급여를 받는 도중 일을 하게 되면 꼭 알려야 하나요? YES

- 만약 신고하지 않고 부정수급으로 적발될 경우

1. 해당 실업급여 지급 중지

2. 부정수급액 등의 반환

3. 부정수급액의 최대 5배 추가징수

4.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형사처벌

 

■ 알바는 취업이 아니라고 생각했어요.

-> 임시직도 취업에 해당합니다. 취업에 해당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.

1. 월 60시간 이상 근로하거나 3개월 이상 계속 근로하는 경우

2. 예술인으로 월 50만 원  이상 계약을 체결하였거나, 노무제공자로서 월 80만 원 이상 계약을 체결하여 근무하는 경우

3. 근로의 대가로 실업급여액 이상을 수령한 경우나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하는 금액 이상을 수령한 경우

4, 일용근로자, 임시직, 아르바이트 등 단기간 근로한 경우

5. 사업자등록을 하고 사업을 하는 경우

6. 가업에 종사하거나 다른 사람의 사업에 근로를 제공하여 취업하기가 곤란한 경우

 

■ 알바로 일한 내용을 신고하면 어떻게 되나요?

-> 취업 일수에 해당하는 기간만큼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소정 급여 일수에서 제외됩니다.

예) 실업급여 일액이 8만 원인 사람이 10일간 취업했다면?

80만 원 (8만 원 × 10알)을 제외한 실업급여를 지급받게 됨.

 

■ 주변에서 부정 수급하는 경우 본 것 같은데.... 어떻게 해야 할까요?

-> 실업급여 부정수급 제보가 가능합니다.

부정수급 제보는 거주지 관할 전국 고용노동청(지청)에서 가능합니다. 제보자의 신분은 철저히 보장되며, 부정수급 확인 시 포상금도 지급됩니다.

- 포상금 최대 500만 원 -

* 단, 익명 제보 시 미지급

부정수급 제보 : 전국 고용노동청(지청) 및 인터넷 www.ei.go.kr  

 

■ 아... 잘 몰랐어요. 자진 신고는 어떻게 하죠?

부정한 방법으로 지급받은 실업급여는 부정수급액 등의 반환뿐 아니라 최대 5배의 금액이 추가 징수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부정수급 자진 신고자에 한해서는 추가징수 부과가 면제되며 형사처벌의 선처가 가능합니다. 부정수급 자진 신고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세요. 실업급여는 구직자의 재취업을 돕는 꼭 필요한 안전망입니다. 부정수급은 절대 안 됩니다.

 

■ 문의

고용노동부 콜센터 ; 국번 없이 1350

고용노동부 누리집 : www.moel.go.kr

 

 

 

여기까지 실업급여 수급 중 소득이 있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감사합니다.

반응형

댓글